코인 뉴스 프리핑 2021년 11월 29일 월요일
23:33
소식통 "잭 도시, 트위터 CEO 사임할 듯"
대표적인 비트코인 지지 기업인으로 꼽히는 잭 도시 트위터 CEO가 임원직에서 물러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CNBC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잭 도시는 현재 트위터와 스퀘어 CEO를 겸임하고 있다. 그의 지휘 아래 트위터는 비트코인 후원(팁) 기능을 도입한 바 있다. 올해 초 잭도시는 비트코인에 전적으로 집중하기 위해 회사를 떠날 의향이 있다고 언급했었다.
23:27
스타크넷 알파, 오늘 이더리움 메인넷 출시
영지식증명기술 개발사 스타크웨어(StarkWare)가 스타크넷 알파(StarkNet Alpha)가 오늘 이더리움 메인넷에 출시된다고 전했다. 스타크넷은 이더리움 L2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무허가형 탈중앙 롤업으로, 디앱이 연산(computation)을 위해 무제한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만 이번에 출시되는 것은 알파 버전으로, 추후 수정 및 개선 사항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3:20
전 시티그룹 임원, 15억달러 규모 암호화폐 투자회사 설립
시티그룹 임원 출신 매트 장(Matt Zhang)이 15억달러 규모 암호화폐 투자 벤처를 시작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매트 장은 연금, 기부금, 국부펀드, 패밀리 오피스 등 기관 투자자가 뉴욕에 있는 자신의 투자회사 하이브마인드 캐피털 파트너스(Hivemind Capital Partners)에 관심을 보였다고 인터뷰에서 말했다. 하이브마인드는 6~12개월 내에 4~5명의 파트너를 추가할 계획이다.
23:12
솔라나 기반 민 다오, 350만달러 투자유치
솔라나 기반 디파이 프로젝트 민 다오(Mean DAO)가 350만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Three Arrows Capital, SoftBank, DeFiance Capital 주도로 Skyvision Capital, Solar Eco Fund, Sesterce Capital and Gate.io가 참여했다. 민 다오는 머니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운영 중이며, Mean 프로토콜 기반 자체 뱅킹 애플리케이션 민파이(MeanFi)를 출시할 예정이다.
23:07
올해 비트코인 거래 수수료 50% 이상 하락
올해 비트코인 거래 수수료가 50% 이상 하락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YCharts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 평균 거래 수수료는 올해 4.40달러에서 1.80달러로 57.97% 감소했다. 평균 거래 횟수도 최근 몇 개월 동안 크게 감소했다. 올해 초 일평균 35만건 이상에서 지금은 213,000~250,000건 수준으로 줄었다. 미디어는 수수료 감소 원인으로 라이트닝 네트워크 사용 확대, 멤풀(mempool) 혼잡 해소, 수요 하락 등을 언급했다.
22:58
갤럭시 디지털, 적격 투자자에 5억달러 선순위 채권 판매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이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5억달러 상당 선순위 채권을 판매하기로 했다고 월요일 발표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채권 판매는 적격 기관을 대상으로 한 사모 방식으로 이뤄지며, 이자율은 3%, 만기일은 2026년 12월 15일이다. 조달한 자금은 비즈니스 성장에 사용될 예정이다.
22:38
이탈리아 호화요트, 암호화폐·NFT 결제 지원
시전에 따르면 이탈리아 호화요트 비안느(VIANNE)가 법정화폐(유로/달러)로 선금 10%를 지불하면 잔액을 암호화폐, NFT로 결제할 수 있도록 했다. 결제 지원 암호화폐/NFT는 BTC, ETH, DOGE, SOL, FTM, BNB, 크립토펑크, BAYC다. 비안느 판매가는 890만유로다.
22:30
윌리 우 "비트코인 온체인 펀더멘털 건강"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유명 온체인 분석가 윌리 우(Willy Woo)가 최근 왓 비트코인 디드(What Bitcoin Did)에 출연해 비트코인 온체인 펀더멘털이 건강해 보이며 특별한 것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은 큰 상승을 위한 준비는 되지 않은 상태지만, 파생상품 데이터를 봤을 때 며칠 내에 불마켓이 재개될 수 있다며 "의심할 여지 없이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가 많다. 장기 투자자는 계속해서 축적 중"이라고 설명했다.
22:15
마이크로스트레티지 7002 BTC 추가 매수.. 4936억원 상당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레티지 CEO가 7002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전했다. 총 4.141억 달러 어치로, 평균 59,187달러에 매수했다. 11월 29일 기준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121,044 BTC(35.57억달러 상당)를 보유 중이며, 평단가는 29,534달러다.
22:02
더샌드박스, 알파패스 활성화
더샌드박스(SAND)가 알파패스(ALPHA Passes)가 활성화됐다고 전했다. 알파패스는 시즌권 형태 NFT 아이템으로, 보유자는 메타버스 체험 콘텐츠 기반 퀘스트에 도전할 수 있으며, 보상으로 총 1000 SAND와 한정판 NFT 3종을 받을 수 있다. 앞서 더샌드박스는 11/29~12/20 다양한 메타버스 체험 콘텐츠와 보상을 제공하는 알파 시즌을 진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21:46
나탈리 오시포바, 세계 최초 발레 NFT 경매
런던 로열 발레단 수석 무용수 나탈리 오시포바(Natalia Osipova)의 발레 공연 디지털 사본이 담긴 NFT가 12월 10일 본햄(Bonhams)에서 경매에 부쳐질 예정이라고 가디언지가 전했다. Giselle NFT는 8000파운드부터, Left Behind NFT는 3만파운드부터 입찰가가 시작된다. 오시포바는 "NFT는 지난 1년 동안 예술 세계를 뒤흔들었다. 발레의 매력을 알릴 기회"라고 말했다.
21:04
디파이 애그리게이터 XY 파이낸스, 1200만달러 투자 유치
디파이 애그리게이터 XY 파이낸스가 1200만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Circle(Circle Internet Financial), Infinity Ventures Crypto, Mechanism Capital, Morningstar Ventures, YGG(Yield Guild Games), Animoca Brands, MEXC Global, TRON Foundation 등이 이번 라운드에 참여했다. XY 파이낸스는 디파이, 메타버스를 위한 원스톱 크로스체인 애그리게이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12월 9일에는 IDO 서비스를 오픈하고, 거버넌스 토큰인 XY Token을 출시할 예정이다.
21:03
폼플리아노 "나도, 다른 수백만명 사람들도 비트코인 안 판다"
앤서니 폼플리아노(Pomp) 모건크릭디지털 창업자가 오늘 CNBC에 출연해 "나는 내 비트코인을 팔지 않는다. 수백만명의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팔지 않는다"고 말했다.
20:27
억만장자 팀 드레이퍼 "테조스·아라곤 주시 중"
실리콘밸리 유명 투자자이자 억만장자 팀 드레이퍼(Tim Draper)가 알트코인 중 테조스(XTZ), 아라곤(ANT)을 주시하고 있다고 최근 블룸버그 마켓 인터뷰에서 밝혔다. 먼저 테조스에 대해 그는 "훌륭한 엔지니어링 팀이 있고, 토큰 운영 방식을 재정의했다. 또 테조스 블록체인은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새로운 형태의 거버넌스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DAO(탈중앙자율조직) 구축/관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아라곤에 대해선 "배심원 판단이 필요한 분쟁을 처리하기 위해 커뮤니티가 관리하는 탈중앙 법원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팀 드레이퍼는 비트코인 강세론자로 유명하다.
20:21
2000 BTC 이체.. 코인베이스→익명
웨일알러트에 따르면 코인베이스에서 익명 주소로 1,999.9999 BTC가 이체됐다. 약 1.14억 달러 규모다.
20:19
쓰론 12/1 NFT 플랫폼 론칭
쓰론(THN)이 12월 1일 NFT 플랫폼을 론칭한다고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카니예 웨스트 등이 이그제큐티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맡을 예정이다. NFT 마켓에서 네이티브 토큰 THN로 결제할 시 크리에이터는 NFT 판매가의 100%를 받을 수 있다. 이더리움으로 결제 시에는 수수료가 부과된다.
20:14
토네이도캐시, 아비트럼 배치 예정
토네이도캐시(Tornado.Cash)가 이더리움 레이어2 솔루션 아비트럼(Arbitrum)에 배치될 예정이다. 관련 스마트 컨트랙트는 모두 설정된 상태다. 토네이도캐시는 올해 6월부터 BSC, 폴리곤, xDAI Chain, 아발란체 등으로 확장했다.
19:59
크립토마인즈, BSC 일일 트랜잭션 25% 차지.. 최고 55%
게임파이 P2E 프로젝트 크립토마인즈(Cryptomines) 설립자가 지난 며칠간 크립토마인즈가 BSC(바이낸스스마트체인) 일일 트랜잭션의 25%를 기여했으며 피크 때는 이 비중이 55%에 달했다고 말했다.
19:55
SK스퀘어 "코빗 IPO 계획 없다, NFT 사업은 진출"
디지털투데이에 따르면 SK스퀘어가 코빗의 기업공개(IPO)는 추진하지 않지만 지분율을 40%대(현재 35%)까지 늘릴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아울러 SK스퀘어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IP)을 기반으로 대체불가토큰(NFT) 상품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회사 측은 “코인 거래와 NFT 마켓플레이스는 업비트와 빗썸도 진출한 영역으로 당연히 할 것”이라며 “특히 대주주 넥슨이 메타버스 게임이나 블록체인 게임에 대해선 상당히 준비를 하고 있다. 앞으로 큰 협업 영역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SK스퀘어는 SK텔레콤 인적분할 이후 첫 상장일인 29일 오후 기관투자자 및 국내·외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IR 설명회를 마련하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우선 코빗 가입자 증가에 집중해 2022년 말까지 200만명을 확보하며 시장점유율 20%를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기도 했다. 앞서 SK스퀘어는 코빗에 약 900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
19:46
위즈덤트리, 유럽서 크립토 바스켓 ETP 3종 상장
위즈덤트리(WisdomTree)가 스위스증권거래소(SIX), 독일증권거래소(Börse Xetra)에 크립토 바스켓 ETP 3종을 상장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각각 WisdomTree Crypto Market(BLOC), WisdomTree Crypto Altcoins(WALT), WisdomTree Crypto Mega Cap Equal Weight(MEGA)로, 모두 위즈덤트리가 개발한 지수를 추종한다.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집중한 MEGA와는 달리 WALT는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제외한 카르다노, 비트코인캐시, 라이트코인, 폴카닷, 솔라나 같은 알트코인에 중점을 두고 있다. BLOC은 시가총액 약 70%를 차지하는 메이저 코인에 노출되지만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대한 과도한 노출을 피하고 있다.
19:34
인베스코, 실물인수도 방식 비트코인 ETP 출시
인베스코(Invesco)가 실물인수도 방식 비트코인 ETP를 출시한다고 인베스트먼트위크가 전했다. 연 수수료는 0.99%다. 영국 기반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업체 조디아 커스터디(Zodia Custody)가 비트코인을 보관한다.
19:02
크립토퀀트 오늘의 비트코인 퀵테이크
-상승장의 근거
1.코인 생존 기간 합(SCA)으로 본다면 비트코인의 장기투자자들은 매도하지 않고 보유 중
2.거래소 공급쇼크비율(Supply Shock Ratio)로 본다면 비트코인이 거래소 밖으로 유출되고 있음
-하락장의 근거
1.김치 프리미엄이 어제 7%에 도달. 이 수치는 5월 이후 최고치. 현재는 5%이며 이는 개인 투자자들이 코인 투자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뜻할 수도 있음
18:58
러 투자자 46% "암호화폐, 경제 위기 대응 헷지자산"
러시아 투자자의 46%가 암호화폐를 경제 위기 리스크에 대비할 수 있는 헷지 자산으로 인식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인베스팅닷컴이 러시아 개인투자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인용해 코인텔레그래프가 이같이 전했다. 응답자들은 대체투자 방면에서 부동산보다 암호화폐를 더 선호했다. 인베스팅닷컴 러시아 사업부 책임자 Anastasia Kosheleva는 "부동산은 역사적으로 러시아에서 최고의 헷지 자산이었지만, 올해 암호화폐가 외환, 주식을 포함한 다른 전통 자산 상승률을 상회하면서 최대 투자 트렌드로 부상했다"고 말했다. 작년에는 러시아 투자자 77%가 금보다 비트코인을 선호한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있었다고 미디어는 덧붙였다.
18:52
CRE8 12/1 미소 IDO 진행
Creaticles(CRE8)가 한국시간 12월 1일 23시 미소(MISO)에서 IDO를 진행한다. 48시간 동안 진행되며, 이번 IDO에서 총 4000만 CRE8가 개당 0.095달러에 판매될 예정이다. 총 공급량의 5%가 퍼블릭 세일로 판매되며, 이중 4%가 이번 IDO 판매 물량이다.
18:47
ENS DAO 첫 제안 통과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 리드 개발자에 따르면, 오늘 오전 ENS DAO(탈중앙자율조직)의 첫 제안이 통과됐다. 이는 자금 및 중요 어드민 통제권을 멀티시그(multisig)에서 DAO로 이전하는 제안이다.
18:42
인도 재무장관 "비트코인, 화폐로 인정하지 않을 것"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장관이 비트코인을 화폐로 인정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월요일 밝혔다. 그러면서 인도 중앙은행은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의 단계적 시행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인도 중앙은행은 2022년 CBDC를 테스트할 계획이다. 한편 인도 의회는 오늘부터 겨울 회기에 돌입, 암호화폐 법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관련 법안에는 인도 내 모든 개인 가상화폐를 금지하지만, 가상화폐와 그 용도를 기반으로 한 기술을 촉진하기 위한 예외는 허용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18:31
코인원-코빗-빗썸 12월 트래블룰 시스템 첫 적용
뉴스핌에 따르면 코인원과 코빗이 다음달 초 거래소 간 코인 이동 시 송금인과 수취인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트래블룰 시스템'을 업계 처음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빗썸‧코인원‧코빗 거래소 3사의 트래블룰 합작법인 '코드'는 오는 12월 8일 오후 서울 모처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코인원과 코빗이 우선적으로 시스템 적용이 시작됨을 알릴 계획이다. 빗썸은 두 거래소보다 늦은 지난 19일 금융당국의 사업자 수리를 받은 만큼, 고객확인제도가 끝난 후에 적용될 방침이다. 한편 업비트는 자회사 람다256을 통해 자체적인 트래블룰 솔루션을 적용할 계획이다. 금융정보분석원(FIU)은 내년 3월부터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를 마친 거래소들을 대상으로 트래블 룰을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100만원 규모 이상의 가상자산 거래에 대해서는 보낸 사람과 받은 사람의 정보를 모두 확인해야 한다.
18:08
여야 합의 속 국회 기재위, '코인 과세 1년 뒤로 유예' 의결
매일경제에 따르면 2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조세소위원회는 오후 5시 회의를 열고 과세 시점을 2023년으로 미루는 내용을 담은 소득세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전날인 28일 '소소위' 까지 열고 여야가 합의안을 미리 도출한 결과다. 여당은 조세소위원장인 김영진 민주당 의원이, 야당은 류성걸 국민의힘 의원이 양당 대표로 협상에 임했다. 과세 당국인 기획재정부가 당초 기준이었던 2022년 1월 과세 원칙을 고수했지만 입법부인 국회가 1년 뒤로 유예시켰다.
18:03
후오비 글로벌 SDN 상장
후오비 글로벌이 11월 29일 파이오니어 존 USDT 마켓에 SDN (Shiden Network)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량이 충족되면 거래지원이 개시된다.
18:00
불닥스, 89차 가상자산 예치 이자 상품 모집
불닥스(Bulldax)가 89차 불닥스 가상자산 예치 이자 상품을 모집한다고 29일 공지했다. 예치 상품은 BTC, ETH이며 연이율은 모두 7%다. 최소 참여 수량은 각각 0.0003 BTC, 0.005 ETH다. 모집 기간은 11월 29일 오후 6시부터 12월 8일 오후 6시까지이며, 예치 기간은 12월 9일 오후 6시부터 내년 1월 6일 오후 6시까지다.
17:55
휴먼스케이프, 유통량 정정 예정..보호예수 해제 물량 '절반' 줄인다
한국경제에 따르면 의학 정보 관련 가상자산(암호화폐) 프로젝트인 휴먼스케이프(HUM)가 내달 1일 예정된 HUM 토큰 락업(보호예수) 해제 규모를 절반 가까이 줄인다. 휴먼스케이프는 오는 12월 1일 HUM토큰 2억1250만개(약1170억원 상당)을 유통할 계획이었지만 내부 팀원 및 초기투자자 등과 협의해 이를 절반 가까이 줄인 1억 1250만개(약622억원 상당)만 유통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어드바이저 지급 물량이었던 HUM토큰 6250만개는 그대로 지급하며, 팀원 및 초기투자자들에게 분배되는 1억 5000만개의 HUM토큰은 1억개를 추후로 미루고 5000만개만 지급한다.
17:30
NFT 플랫폼 NFTrade, 테조스와 통합
분산형 크로스체인 NFT 플랫폼 NFTrade가 테조스와 통합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개발팀은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게 NFT를 생성, 매매 및 스왑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17:21
지난 24시간, PUNKS Comic 거래량 2278.18% 증가
크립토 슬램 기준 지난 24시간 PUNKS Comic 거래량이 2278.18% 증가했다. 주요 NFT 프로젝트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약 282.3만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감소폭이 큰 프로젝트는 'the littles NFT'로 전날 대비 63.42% 감소한 123.2만 달러를 나타냈다.
17:20
한류뱅크, 美 나스닥 IPO 추진 이어 팬투 블록체인 보상 시스템 전격 공개
한류뱅크의 글로벌 팬덤 네트워킹 플랫폼 ‘팬투(FANTOO)’가 팬덤활동 시 기여도에 따른 리워드를 가상자산으로 보상하는 블록체인 접목 보상시스템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팬투 유저들은 콘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좋아요를 클릭하는 등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KDG(스테이블 성격을 띈 팬투 내 공용화폐)를 획득할 수 있다. 동시에 KDG는 거버넌스 토큰 KDC로 교환이 가능하다. KDC는 현재 엘뱅크 및 엑스티거래소 등 거래소에 상장된 상태다. KDG는 팬투 앱 이외에도 차후 한류뱅크의 간편결제 플랫폼 ‘팬투페이(FANTOO PAY)’와 NFT중계 플랫폼 ‘팬투NFT(FANTOO NFT)’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한류뱅크는 한류홀딩스를 통해 미국 나스닥(NASDAQ)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진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17:14
오픈씨, 日 작가 오노 미유키 SF 소설 NFT 판매 중
포캐스트에 따르면 일본 유명 작가 오노 미유키의 SF소설 '퓨어(Pure)'의 영어 번역본이 NFT로 전환돼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에서 판매 중이다. 해당 번역본은 NFT로만 볼 수 있다. 오노 미유키는 "소설의 NFT화 시도는 작가와 번역가에게 새로운 수익모델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했다.
17:06
블록체인 분석 업체 난센 CEO "동남아 암호화폐 시장, 낙관적 평가"
블록체인 분석 서비스 업체 난센(Nansen) CEO 알렉스 스바네빅이 트위터를 통해 동남아 암호화폐 시장을 낙관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싱가포르는 동남아 암호화폐 시장의 허브가 됐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코인게코와 이더스캔 등 팀을 배출했고, 베트남은 액시인피니티, 사이퍼 등 블록체인 게임을 주도하고 있다. 필리핀에는 수백만 명의 P2E 플레이어가 있다. 태국에선 현지 최대 상업은행 시암상업은행(SCB)의 벤처캐피털 부문 XCB 10X가 암호화폐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세계 4위 인구를 보유한 인도네시아에서는 암호화폐 거래소 핀투가 서비스를 제공 중"이라고 전했다.
17:00
디비전 네트워크, NFT 생태계 확장 위해 디파인과 파트너십 체결
NFT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디비전 네트워크(Dvision Network)가 NFT 소셜 플랫폼 디파인(Define)과 NFT 생태계 확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디비전 네트워크는 디파인 플랫폼을 통해 디비전 마켓플레이스 NFT의 개인 간(P2P) 거래를 지원할 예정이다.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디파인은 디비전 월드의 일부인 랜드를 소유하게 되며, 디파인 팀은 랜드 내에 가상 갤러리를 구축할 예정이다. 디파인 관계자는 “디비전 월드에서 NFT를 전시하고 게이밍 부스를 만들어 이벤트와 컨퍼런스를 개최하는 등 랜드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디비전 네트워크는 지난 26일 멀티 체인 NFT 마켓 플랫폼 Refinable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 해당 플랫폼 내 디비전 랜드 P2P 거래를 활성화한 바 있다.
16:46
바이낸스, 도지코인 출금 정상화
바이낸스가 최근 네트워크 이상 문제로 일시 중단한 도지코인(DOGE) 출금을 재개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는 "지난 27일(현지시간) DOGE 출금 기능을 재가동하고 종합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모두 정상으로 나타났다. 이에 DOGE 출금 기능을 재개한다"고 전했다. 앞서 11일 바이낸스는 "10일 버전 업데이트 후 DOGE 네트워크에 작은 이상이 발견됐다"며 "해당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바이낸스는 DOGE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16:20
인도 거래소 코인DCX 공동설립자 "정부 수락 시 IPO 시도"
BNN 블룸버그에 따르면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DCX의 공동설립자 니라지 칸델왈(Neeraj Khandelwal)이 "정부가 수락하는 대로 기업공개(IPO)를 시도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월요일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앞서 코인베이스가 IPO를 진행, 업계에 합법성을 부여했듯이 우리도 IPO를 통해 이와 동등한 수준의 자신감을 업계에 심어주고 싶다"며 "정부 규정에 따라 구체적 일정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인DCX는 올해 왈도 세브린 메타(전 페이스북) 공동창업자 등이 주도한 라운드 투자에서 9000만 달러를 유치, 기업가치는 11억 달러로 평가받은 바 있다.
16:12
인도 재무장관 "인도 정부, 비트코인 받아들이자는 제안 동의한 적 없어"
외신에 따르면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장관이 "인도 정부는 비트코인을 받아들이자는 제안에 대해 동의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또한 정부는 비트코인 거래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 투자 전문 미디어 마켓워치 등은 "인도 정부가 추진 중인가상화폐 규제가 전면 금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며 "관련 법안에 인도 내 모든 개인 가상화폐를 금지하지만, 가상화폐와 그 용도를 기반으로 한 기술을 촉진하기 위한 예외는 허용하는 내용도 들어있다"고 전했다. 인도 가상화폐 거래소 젭페이의 아비나쉬 쉐카르 공동 최고경영자(CEO)도 이날 CNBC인터뷰에서 "정부로부터 많은 긍정적인 분위기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15:38
인덱시드 파이낸스 "해킹 관련 취약점 제거 완료"
디파이 프로토콜 인덱시드 파이낸스(Indexed Finance)가 최근 해킹 사건과 관련, "제안 16이 통과돼 풀 리밸런싱 메카니즘의 취약점이 제거됐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어 "DEGEN, NFTP, ORCL5 풀은 이제 안전하며 DEFI5, CC10 및 FFF 풀에 남아있던 자산은 트레저리로 이동했다"며 "유니스왑 LP풀에 있던 ETH는 모두 소진됐다"고 전했다. 앞서 15일 인덱시드 파이낸스는 해킹 공격에 노출돼 1600만 달러 피해를 입었다.
15:12
폴리곤, 유니스왑 v3 폴리곤 PoS 배치 방안 컨센서스 체크 진행 中
미하일로 벨릭(Mihailo Bjelic) 폴리곤 공동 창업자에 따르면 지난주 폴리곤 팀이 유니스왑 v3를 폴리곤 PoS에 배치하는 방안에 대한 정식 제안을 업로드 했다. 이후 유니스왑의 거버넌스 의사 결정의 1단계인 관심도 체크(Temperature Check)가 진행됐다. 그 결과 779만 UNI, 100% 찬성으로 통과됐다. 현재는 두번째 단계인 컨센서스 체크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투표 결과에 따라 유니스왑 v3를 폴리곤에 배치하는 방안에 대한 스냅샷 투표 진행 여부가 결정된다.
15:05
아톨로, 어센덱스 거래소 상장
에이치닥테크놀로지(에이치닥)가 9월 론칭한 메인넷 라이즌의 암호화폐 아톨로(ATOLO)를 암호화폐 거래소 어센덱스(AscendEX)의 USDT 마켓에 29일 23시(한국시간) 상장한다고 밝혔다. 라이즌은 텐더민트 엔진 기반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의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아톨로 보유자는 네트워크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즌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다.
14:38
NFT 보급률 1위 국가는 필리핀...NFT 지식 꼴찌는 일본
파인더(FInder)의 최근 설문 조사결과에 따르면 NFT에 가장 많이 투자하는 국가는 필리핀으로 나타났다. 필리핀 성인 투자자들 대상으로 진행된 조사에서 약 32%가 NFT를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2위는 27%가 보유있다고 답한 태국, 3위는 24%를 기록한 말레이시아, 4위는 23%를 기록한 UAE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6위 나이지리아는 13.7%를 기록,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보유률을 기록했다. 반면 NFT 인지도가 가장 낮은 국가는 일본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약 90%가 NFT가 무엇인지 모른다고 답했다. 독일과 영국 투자자의 경우 각각 83%, 79%가 NFT를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앞서 필리핀 당국은 P2E 게임 엑시인피니티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자, 게임에서 얻은 수익에 대해 소득세를 부과한다고 밝힌 바 있다.
14:01
데이터 "0.01BTC 이상 보유 주소 수 930만 개.. 역대 최고"
글래스노드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비트코인 네트워크 내 0.01BTC 이상을 보유한 주소 수가 930만 개로 역대 최고를 나타내고 있다.
14:00
코마캡 메타버스 카테고리, 시총 553억 달러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메타버스 카테고리 분류 암호화폐들의 총 시가 총액이 553억 달러를 돌파했다. 메타버스 카테고리에는 MANA, AXS, SAND, THETA 등 총 145개 암호화폐가 포함되어 있다.
13:21
오픈씨, 11월 폴리곤 기반 NFT 판매량 115만개 돌파
듄 애널리틱스 데이터에 따르면 11월 오픈씨에서 폴리곤 기반 NFT 판매량이 115만 개를 돌파했다. 월간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13:16
스택스, 12/6 스택스 2.05 메인넷 업그레이드 진행
비트코인 기반 분산 인터넷 스택스(STX)가 스택스 개선 제안 SIP-012 투표가 통과됐다고 밝혔다. 해당 제안에는 새로운 비용 제한 도입을 위한 스택스 2.05 버전 업그레이드를 담고 있다. 스택스 2.05 활성화는 비트코인 블록 높이 713,000(12월 6일 예상)에 진행된다. 이와 관련해 무니브 알리 스텍스 창업자는 앞서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SIP-012가 통과됨에 따라 스택스 용량이 10배로 확장될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13:15
포켓 아레나, 11/30 팬케이크 스왑 상장 예정
포켓 아레나(Pocket Arena·POC) 프로젝트가 11월 30일 팬케이크 스왑(Pancake Swap)에 상장될 예정이다. POC는 포켓 아레나 디앱을 위한 이더리움 기반 토큰(ERC-20)으로, 상장 초기 가격은 1 POC 당 0.1 달러이며 초기 시가총액은 약 20만 달러다. 포켓 아레나는 NFT 마켓 플레이스를 통해 기술 기반 토너먼트 및 사용자 생성 NFT 게임을 지원하는 P2E(Play-to-Earn) 기반 NFT 디앱 게임포털 및 플랫폼이다.
13:10
크라켄 CEO "영국서 XMR 상장폐지, 원치 않은 결정"
최근 크라켄이 영국 사용자 대상 모네로(XMR) 거래지원 종료를 발표한 것과 관련, 제시 파월 크라켄 CEO가 레딧 포럼을 통해 "영국 내 광범위한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원치 않았음에도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라며 "영국 당국이 XMR 가치를 더 잘 이해하기 되거나 또는 효과적 감시 툴이 개발될 때까지 재상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능한 한 많은 관할 지역에서 XMR 등 프라이버시 코인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20일 크라켄은 영국 규정에 따라 XMR를 상장폐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6일(현지시간)부터 영국 내 XMR 거래가 중단되며 기존 XMR 마진 포지션이 청산된다.
12:55
온버프, "특정 거래소 상장 루머, 사실 아니다"
글로벌 블록체인 지식재산권(IP) 중계 플랫폼 온버프(ONBUFF)가 공식 SNS를 통해 "지금 0xf9e03ea257008fa6d20423aaf2f019ef168a94fc라는 지갑이 재단 지갑이며, 특정 거래소에 상장할 것이라는 루머가 돌고 있다"며 "이 지갑은 재단 소유의 지갑이 아니며, 루머에 선동되어 투자자분들의 피해가 없기를 바란다"고 공지했다.
12:37
액시 인피니티, 7일 간 수익 4030만 달러
토큰터미널 데이터에 따르면 NFT 게임 액시 인피니티(AXS)의 지난 7일 간 수익이 약 4030만달러, 30일 간 수익이 1.78억달러를 기록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AXS는 현재 8.23% 오른 135.5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2:16
런노드, 레이디움 엑셀레이토 및 IDO 진행
솔라나 RPC 노드 인프라 서비스 런노드가 AMM 및 IDO 플랫폼 레이디움에서 엑셀레이토를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 IDO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RAY 토큰을 7일, 30일, 90일 간 스테이킹해야 한다. 런노드는 솔라나 기반 어플리케이션이 30초 이내 RPC 노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프라다. 런토큰 보유자는 런노드의 스테이킹 및 개발자 API 서비스를 통해 성생된 수수료의 일정 비율을 받게 된다.
12:10
유니엄, 블록체인 기반 NFT 플랫폼 제공
유니엄(U:NIUM)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NFT 플랫폼을 제공, 인플루언서와 팬들간에 교류 및 소통이 가능한 생태계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니엄은 NFT 토큰을 활용해 인플루언서와 아티스트들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해 거래할 수 있게 만드는 NFT 플랫폼이다. 또한 유니엄은 쇼미더머니 콘서트 후원사인 ㈜호들과 MOU를 체결, 12월 11~12일 열리는 쇼미더머니10 콘서트 티켓에 NFT를 적용한 한정판 VIP 티켓을 판매한다. VIP 티켓은 11월 29일 13시부터 유니엄 홈페이지를 통해 구매가 가능하며, 12월 10일 오후 1시 스냅샷을 기준으로 최종 구매자를 선정한다. 온라인을 통해 공연 관람자의 정보를 받은 후 현장에서 티켓이 지급될 예정이다.
11:54
폴카닷, 이번주 1233.33만 DOT 락업 해제
서브스캔 데이터에 따르면 이번주 폴카닷에서 1233.33만 DOT의 락업이 해제된다. 12월 4일 가장 많은 353.25만 DOT의 락업이 해제된다.
11:43
라이 파이낸스, 오늘 21시 메인넷 론칭
크로스체인 자산 교환 프로토콜 라이 파이낸스가 메인넷을 29일 21시(한국시간) 론칭한다고 공식 미디움을 통해 공지했다. 이에 따라 스왑, 애그리게이터, 소셜 트레이딩 기능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중 스왑, 애그리게이터 부문은 이더리움과 폴리곤을 결합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자산 스왑 및 유동성 옵션과 효율적이고 저렴한 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10월 라이 파이낸스는 토큰 티커를 RAI에서 SOFI(소셜과 디파이 합성어)로 리브랜딩한 바 있다.
11:38
글래스노드 "비트코인 11월 조정, 올해 가장 작은 수준"
글래스노드가 "비트코인 11월 조정은 올해 가장 작은 수준이다. 올해 역대최고가에서 발생한 조정폭은 각각 1월 -29.4%, 2월 -24.2%, 4월 -26.5%, 5~7월 -54%, 9월 -37.2%, 11월 -21.8%"라고 전했다.
11:28
라디오카카, 바이낸스 NFT서 NFT 경매 예정
메타버스 및 게임파이 프로젝트 라디오카카(RACA)가 바이낸스 NFT에서 NFT 경매를 진행한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11월 30일 오후 12시부터 12월 7일 오후 12시까지 MPB#1088, MPB#1099 작품에 대한 경매가 진행된다. 수익금은 전액 자선단체에 기부될 예정이다. MPB는 라디오카카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모친 메이 머스크, 코다(KODA)와 공동 론칭한 블라인드 박스 NFT다.
11:21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 4개월만에 하향 조정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가 비트코인 블록 높이 711,648(28일 오후 7시30분)에서 1.49% 하향된 22.34T로 조정됐다. 비트코인 난이도가 하향 조정된 것은 7월 18일 이후 처음이다. 바이낸스 기준 BTC는 현재 6.13% 오른 57,644.1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1:10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동명 코인, 24시간 동안 230% 급등
코로나 새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과 동명 코인인 Omicron(OMIC) 가격이 지난 24시간 동안 230% 급등했다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코인게코 데이터에 따르면 OMIC는 현재 627.63 달러를 기록 중이다. 역대 저점을 보였던 11월 19일(현지시간) 대비 1324.9% 올랐다. OMIC는 디파이 프로토콜 올림푸스 DAO(탈중앙화 자율조직)에서 하드포크된 오미크론 DAO에서 발행됐다. 시가총액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24시간 거래량은 50만 달러 수준이다.
10:50
빗썸, 클레이튼 및 클레이튼계열 출금 일시 지연
빗썸이 클레이튼(KLAY) 및 클레이튼계열(KCT7) 암호화폐가 네트워크 이슈로 인해 일시적으로 출금 서비스가 지연되고 있다고 공지했다. 해당 암호화폐는 클레이(KLAY), 위드(WIKEN), 위믹스(WEMIX), 썸씽(SSX), 템코(TEMCO), 힙스(HIBS), 밀리미터토큰(MM), 옵저버(OBSR), 보라(BORA)다. 네트워크 안정성이 확보되는 대로 순차적으로 출금 진행될 예정이다.
10:42
세계 최대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갈라 게임즈, 클레이튼 생태계 진출
매일경제에 따르면 세계 최대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운영사 갈라 게임즈가 카카오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클레이튼에 진출하고 국내 블록체인 게임 시장에 10억달러(한화 약 1조1000억원)을 투자한다. 갈라 게임즈와 클레이튼 내 탈중앙화 거래소인 클레이스왑을 개발, 운영하는 오지스는 양사의 사업 전반에 걸쳐 협력한다는 내용을 담은 사업제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갈라 게임스는 국내 블록체인 게임 시장에 마케팅을 포함한 대규모 투자를 집행할 계획이다. 또한 오지스의 오르빗 브릿지를 활용해 이더리움, 바이낸스스마트체인(BSC)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갈라게임즈는 소셜 게임 개발사인 징가(Zynga)의 공동 설립자 에릭 쉬어마이어가 설립한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으로 월간 이용자 수가 약 180만명에 이른다.
10:33
플라이빗, 고객확인 본격 시행
가상자산 거래소 플라이빗(Flybit)의 운영사 한국디지털거래소(이하 플라이빗)가 특정금융정보법에 대한 법률 및 규제 준수를 위해 오는 12월 1일 0시부터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고객확인제도(CDD)를 본격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플라이빗을 이용하는 모든 고객은 이날 0시부터 시행되는 고객확인 절차를 완료해야 가상자산 거래(매수/매도) 및 입출금 서비스가 이용 가능하며, 고객확인 제도를 완료하지 않은 고객은 모든 거래에 대한 이용이 제한될 예정이다. 이에 앞서 11월 30일 정오부터 12월 1일 자정까지 관련 시스템을 철저히 점검할 예정이며 고객확인제도 시행 시점 이전까지 제출된 모든 미체결 주문은 고객확인제도 시행 시점에 일괄 취소된다. 단, 시행 시점 이후 고객확인 절차를 완료한 회원은 가상자산 거래가 가능하다. 플라이빗 관계자는 “이번 고객확인제도는 모든 고객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절차를 완료할 수 있도록 관련 시스템 사전 점검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며 고객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상담을 제시하기 위해 24시간 전담 상담사 및 부서별 전문 인력을 배치, 운영하여 발 빠른 선제 조치로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10:07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33... 공포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6 포인트 오른 33을 기록했다. 공포 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09:50
카자흐스탄 의원 "암호화폐 채굴장, 내년초부터 과세"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하원 의원 두이센바이 투르가노프가 "정부는 암호화폐 채굴 규제 프레임워크를 확대해야 하며, 암호화폐 채굴업계는 새로운 규제 표준을 따라야한다. 또 절차 간소화를 위한 전면적인 디지털 자산 생태계 시스템이 개발돼야 한다"면서 "2020년 수정법안 통과 이래 암호화폐 채굴은 합법적인 공업 활동이며, 2022년 1월부터 채굴업체에 과세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09:38
BAYC, 아디다스와 파트너십 암시
NFT 프로젝트 BAYC(보어드에이프요트클럽)가 29일 새벽 트위터에 아디다스 후드티를 입은 원숭이 이미지를 게재, 아디다스와 파트너십 체결을 암시했다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매체는 "BAYC와 아디다스 간 구체적 협력 내용은 나오지 않았다"며 "BAYC 한정판 NFT나 BAYC에서 영감을 얻은 아디다스 의상인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앞서 아디다스는 더샌드박스, 코인베이스와 잇따라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09:29
NFT 플랫폼 유니클리, 1000만 달러 투자 유치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NFT 거래 플랫폼 유니클리(Unicly)가 1000만 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블록체인 캐피탈, 애니모카 브랜드 등이 투자를 주도했으며, 어센시브 애셋, 3콤마 캐피탈, 모닝스타 벤처스가 참여했다. 유니클리는 지난 4월 메인넷을 출시했으며, 신규 투자금은 유니클리 v2 출시 준비에 활용될 예정이다.
09:23
애널리스트 "비트코인 51,500 달러 하락 가능성도.. 바닥 다진다"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벤자민 코웬(Benjamin Cowen)이 BTC 최악의 시나리오로 20주 SMA, 21주 EMA를 결합한 '강세장 지지대'를 예로 들며, BTC가 지지대를 성공적으로 재시험할 경우 앞으로 해당 가격대는 붕괴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주요 조정과 비슷한 25% 하락을 위해 51,500 달러에서 바닥을 다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과거에도 지지대 아래로 하락한 다음 주 곧바로 반등하는 경우가 있었다. 지금도 시장의 펀더멘탈은 강세로 기울고 있다"고 말했다.
09:21
암호화폐 트레이더 피터 브랜트, BTC 회의론자 피터 시프와 금 가치 논쟁
2018년 암호화폐 약세장을 예견한 미국의 베테랑 암호화폐 트레이더 피터 브랜트(Peter Brandt)와 유명 비트코인 회의론자 피터 시프(Peter Schiff)가 트위터에서 논쟁을 벌였다고 유투데이가 전했다. 먼저 피터 브랜트는 1967년 생산된 첫 금괴 주화인 크루거란드(Krugerrand) 이미지를 게재, "1980년 이 주화를 구매한 뒤 40년 넘는 기간 3% 가치 상승에 그쳤다"며 "이는 국채 수익률조차 밑도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같은 거래 팁을 준 피터 시프에게 감사하다"고 비꼬아 말했다. 그러자 피터 시프는 "금 가격이 온스당 35달러에서 850달러로 올랐던 10년 강세장이 끝날 때 당신이 금을 매수했기 때문"이라며 "금을 탓하지 말고 당신의 부적절한 매수 타이밍을 탓하라"라고 답했다. 이에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CEO가 "금을 돈으로 여기는 건 산업용 금을 브랜딩하려는 의도를 지닌 전문 판매자의 입장"이라고 반박하자 피터 시프는 "금은 수천년 간 돈으로 자리잡은 반면 비트코인은 돈으로 자리매김하지 못했다. 비트코인은 투기에 사용되는 디지털 토큰일 뿐이다. 지속적 펌핑이 필요한 비트코인과 달리 금은 판매자를 필요로 하지 않다"고 응수했다.
09:03
미 유명 헤지펀드 전문가 “BTC 탈 레버리징 진행, 내년 반등 전망”
미국 유명 헤지펀드 스카이브릿지캐피탈(SkyBridge Capital)의 최고경영자(CEO)인 앤서니 스카라무치(Anthony Scaramucci)가 CNBC 스쿼크박스에 출연해 “비트코인이 지난 1년 펀더멘털 측면에서 급격한 성장을 했다”며 “아마존과 비슷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만약 1년전 이 대화를 했다면 BTC 월렛이 1억개가 있다고 말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2억 4000개의 월렛이 있다. 엄청난 성장률이다. 여전히 잠재력이 있으며 매수 기회다. 레버리지가 없다면 투자하기 좋은 시점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아마존은 2000년도 변동성을 수반하며, 많은 두려움과 불확실성을 동반했다.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과도한 레버리지를 해소시키고 있다. 내년 반등에 성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08:49
신한금융 “네오위즈, 내년 신작 출시와 P2E·NFT 활용 게임 기대”
신한금융투자는 29일 네오위즈 에 대해 내년 실작 출시와 플레이 투 언(Play to earn·P2E)과 대체불가능한토큰(NFT) 활용 게임이 기대된다고 평가하고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는 3만4000원을 제시했다. 이문종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4분기부터 실적 턴어라운드가 예상되며 내년부터 다수의 신작이 출시된다"면서 "또 관계사 네오플라이에서 블록체인 비즈니스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해왔던 만큼 네오위즈의 P2E 게임과의 연계도 기대되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네오위즈홀딩스의 자회사인 네오플라이는 가상자산업자 신고를 완료했으며 2017년부터 블록체인 노드운용 및 기술개발에 힘써왔다. 이 연구원은 "네오플라이는 4분기 네오핀 베타서비스를 시작으로 내년 1분기 정식 출시할 전망"이라며 "네오핀은 암호화폐 관련 금융서비스 뿐 아니라 NFT, P2E, 서비스 투 언(Service to earn·S2E) 등을 제공하며 P2E 모델 게임 서비스에 네오위즈 참여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08:45
SK스퀘어, 가상자산거래소 코빗에 900억 투자…2대 주주로
이데일리에 따르면 SK스퀘어가 오늘(29일) 재상장과 동시에 코빗에 약 900억원을 투자해 약 35% 지분을 인수함으로써 최대주주 NXC(대표이사 이재교)에 이어 2대주주로 올라선다. SK스퀘어는 사회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ICT 넥스트 플랫폼(Next Platform) 영역을 선점하기 위해 코빗에 대한 투자를 집행했다. 가상자산거래소 사업은 현재 제도권 법제화 단계에 본격 진입했으며 향후 혁신적인 플랫폼 사업의 한 축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코빗은 금융위원회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국내에서 두 번째로 금융정보분석원에 신고 수리가 완료된 가상자산사업자이자, 업비트 등과 함께 원화거래가 가능한 국내 4대 가상자산거래소다.
08:41
11월 DEX 총 거래량, 1000억 달러 육박
지난 11월 주요 탈 중앙화 거래소(DEX)의 총 거래량이 1000억 달러에 육박했다. 11월 28일 기준 누적 995억 달러의 거래를 처리했다. 7월 563억 달러와 비교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유니스왑 V2, V3가 각각 470억 달러, 240억 달러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대부분을 차지했다.
08:36
프랑스 중앙은행 부총재 “디파이 대한 직접적 규제 필요”
더블록에 따르면 프랑스 중앙은행 부총재가 유럽 규제 당국의 디파이에 대한 직접적인 규제를 촉구했다. 드니 보 부총재는 28일(현지시간) 국제 결제 은행 연설에서 “중개자 없이 프로토콜이 자동으로 시행되는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자 및 발행자를 쉽게 식별할 수 없는 분산형 금융 개발에 대한 감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유럽연합의 암호화폐 규제안 MiCA에 디파이 관련 조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점을 강조했다.
08:28
미 영화관 체인, 스파이더맨 신작 시사회 티켓 구매자에 NFT 제공
미국 영화관 체인 AMC가 스파이더맨: 노웨이 홈 시사회 티켓을 선구매하는 이용자들에게 8.6만개의 왁스 블록체인 기반 NFT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CNBC가 전했다. 이를 위해 AMC는 컵 스튜디오와 협력해 100개 이상의 NFT 디자인 워크를 출시할 예정이다. NFT 제공 대상은 AMC 스텁스 프리미어 회원 등이다.
바이낸스 할인받자
https://www.binance.com/en/futures/ref/194773849
추천인 코드: 194773849
링크로 들어가셔서 가입하시면 할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바이비트 할인받자
https://www.bybit.com/ko-KR/invite?ref=K5Z586
추천인 코드 : K5Z586
링크로 들어가셔서 가입하시면 할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이벤트 중이니 확인해 보세요.
#주식 #증시 #주식일정 #주식스케줄 #증시일정 #증시스케줄 #특징주 #신규상장주 #마감체크 #마감시황 #오늘주시마감 #증시요약 #소액투자 #주식정보 #주식공부 #소액제테크 #비트코인 #헌트 #HUNT #비트코인캐시에이비씨 #BCHA #시박 #CVC #센티넬프로토콜 #UPP#아르고 #AERGO #이캐시 #비캐똥 #코스피 #주식 #비트코인단타 #비트코인차트보는법 #비트코인캐시 #비트코인투자 #비트코인하는법 #빗썸 #비트겟 #스텔라루멘 #암호화폐 #업비트 #바이낸스 #이더리움 #ETH #공모주 #상한가 #하안가 #급등주 #급등주찾기 #코스피 #코스닥 #선물 #나스탁 #다우 #뉴욕증시나 #바이비트 #bybit #존버 #코인원 #클레이튼 #특금법 #마로코인 #스트라티스 #페이코인 #밀크코인 #비트토렌트 #아크코인 #파워렛저 #스팀 #스토리지 #썬더토큰# 메디블록 #펀디엑스 #보라 #넴코인 #피르마체인#메타디움 #칠리즈 #앵커 #스와이프 #헤데라해시그래프 #썸씽 #코모도 #엠블 #코박토큰 #엘프 #크립토닷컴 #체인#리스크 #샌드박스 #룸네트워크 #오브스 #제로엑스 #아인스타이늄 #하이브#디카르고 #캐리프로토콜 #무비블록 #골렘 #오미세고 #아이콘 #슈콘 #헌트 #모스코인 #아더 #이오스 #픽셀 #센티넬프로토콜 #플레이댑 #어거 #폴리매쓰 #스톰엑스 #리퍼리움 #교수 #교수점쟁이 #디마켓 #스펜드코인 #스트라이크 #쎄타퓨엘 #퀀텀 #람다 #이그니스 #왁스 #시아코인 #에브리피디아 #디센트럴랜드 #휴먼스케이프 #온톨로지 #카바 #퀴즈톡 #저스트 #트론 #에이다 #스팀달러 #세럼 #그리스톨코인 #엔진코인 #시빅 #에드엑스 #테조스 #쿼크체인 #트웰브쉽스 #옵저버 #알파쿼크 #에스티피 #엔도르 #재테크 #소액투자 #코인베이스 #스테이블코인 #디파이 #디파이플랫폼 #메이커프로로콜 #크로로콜 #밀크 #루사이퍼 #폴라곤 #솔리나 #질라카 #샌드박스 #스텔라루멘 #이캐시 #비트코인캐시 #스테이터스테이트워크토큰 #아이오타 #아이콘 #펀디엑스 #1인치네트워크 #에이브 #디센트럴랜드 #베이직어텐션토큰 #디센트럴랜드 #샌드박스 #일론머스크 #페이프로토콜 #블록체인 #시바이누 #알고랜드#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이캐시#디카르고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주요 뉴스 프리핑 2021년 11월 30일 화요일 (0) | 2021.12.02 |
---|---|
업비트 랭킹 순위 2021년 12월 1일 수요일 (0) | 2021.12.01 |
업비트 랭킹 순위 2021년 11월 30일 화요일 (0) | 2021.11.30 |
11월 28일 일요일 주요 뉴스 브리핑 (0) | 2021.11.29 |
2021년 11월 29일 월요일 업비트 랭킹 순위 (0) | 2021.11.29 |